맨위로가기

2012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은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루마니아 선수단을 의미한다. 루마니아는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7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사격에서 알린 몰도베아누가 남자 10m 공기 소총에서 금메달을, 체조에서 산드라 이스바샤가 여자 도마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유도에서는 알리나 드루미트루와 코리나 커프리오리우가 은메달을,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체조 여자 마루에서 커털리나 포노르가 은메달을 획득했다. 체조 여자 단체 종합에서 디아나 불리마르, 디아나 켈라루, 라리사 이오르다케, 산드라 이스바샤, 커털리나 포노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루마니아는 14개 종목에 103명의 선수를 파견했으며, 펜싱, 체조, 유도, 사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루마니아 - 2012-2015년 루마니아 불온사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루마니아에서는 사회 문제, 정치적 혼란, 다양한 사건을 배경으로 폭동, 시위, 정치 위기, 대통령 탄핵, 파업 등이 발생하며 일련의 불온 사태가 이어졌다.
  •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선수단 - 1896년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선수단
    1896년 하계 올림픽에 이탈리아는 사격 종목에 3명의 선수를 파견하여 주세페 리바벨라가 200m 군사 소총 17위, 자유 소총에서 22점을 기록했으며, 마라톤에 참가하려던 카를로 아이롤디는 아마추어 자격 박탈당했다.
  •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이탈리아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육상 멀리뛰기(지오르지오 필라토)와 사이클 스프린트(엔리코 브루소니)에서 금메달을, 육상 높이뛰기(지오르지오 필라토)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육상, 사이클, 수영, 승마, 펜싱, 체조, 조정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했다.
  •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루마니아는 게오르게 플라지노와 알렉산드루 알로만 두 명의 선수를 사격 종목에 파견하여 플라지노는 트랩 사격 13위, 알로만은 순위 미상으로, 총 11점을 획득해 종합 13위를 기록했으며 플라지노는 승마에도 출전했다.
  •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 1928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루마니아는 육상과 펜싱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에서는 남자 11명과 여자 2명이, 펜싱에서는 남자 8명이 출전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기본 정보
NOC루마니아 올림픽 스포츠 위원회
NOC 영문명Romanian Olympic and Sports Committee
웹사이트www.cosr.ro 루마니아 올림픽 스포츠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대회 정보
올림픽하계 올림픽
연도2012년
개최지런던
참가 정보
참가 선수103명
참가 종목14개
기수 (개막식)호리아 테커우
기수 (폐막식)산드라 이즈바샤
순위29위
메달 현황
금메달2개
은메달4개
동메달1개
총 메달7개
올림픽 참가 역사
첫 참가1900년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자동 계산
관련 정보
각주https://www.olympic.org/news/ioc-sanctions-three-athletes-for-failing-anti-doping-tests-at-london-2012 IOC, 런던 2012에서 도핑 테스트에 실패한 세 명의 선수 제재

2. 메달리스트

wikitable

} || 체조 || 여자 마루 || 8월 7일

|-

|  동 || 디아나 불리마르, 디아나 켈라루, 라리사 이오르다케, 산드라 이스바샤, || 체조 ||여자 단체 종합 || 7월 31일

|}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1위 금알린 몰도베아누사격남자 10m 공기 소총7월 30일
1위 금산드라 이스바샤체조여자 도마8월 5일
2위 은알리나 드루미트루유도여자 48kg7월 28일
2위 은코리나 캐프리오리우유도여자 57kg7월 30일
2위 은라레쉬 드루미트레스쿠, 티베리우 돌니체아누, 플로린 잘로미르, 알렉산드루 시리체아누펜싱남자 단체 사브르8월 3일
2위 은{{llang|ro|캐털리나 포노르|}
날짜별 메달
날짜16px16px16px합계
7월 28일0101
7월 29일0000
7월 30일1102
7월 31일0011
8월 1일0000
8월 2일0000
8월 3일0101
8월 4일0000
8월 5일1001
8월 6일0000
8월 7일0101
8월 8일0000
8월 9일0000
8월 10일0000
8월 11일0000
8월 12일0000
합계2417



종목별 메달
종목16px16px16px합계
펜싱0101
체조1113
유도0202
사격1001
합계2417



성별 메달
성별16px16px16px합계
남자1102
여자1315
합계2417


2. 1. 메달 집계

} || 체조 || 여자 마루 || 8월 7일

|-

| || 디아나 불리마르, 디아나 켈라루, 라리사 이오르다케, 산드라 이스바샤, || 체조 ||여자 단체 종합 || 7월 31일

|}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알린 몰도베아누사격남자 10m 공기 소총7월 30일
산드라 이스바샤체조여자 도마8월 5일
알리나 드루미트루유도여자 48kg7월 28일
코리나 캐프리오리우유도여자 57kg7월 30일
라레쉬 드루미트레스쿠, 티베리우 돌니체아누, 플로린 잘로미르, 알렉산드루 시리체아누펜싱남자 단체 사브르8월 3일
{{llang|ro|캐털리나 포노르|}
날짜별 메달
날짜합계
7월 28일0101
7월 30일1102
7월 31일0011
8월 3일0101
8월 5일1001
8월 7일0101
합계2417



종목별 메달
종목합계
펜싱0101
체조1113
유도0202
사격1001
합계2417



성별 메달
성별합계
남자1102
여자1315
합계2417


2. 2. 종목별 메달

루마니아는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7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종목별 메달
종목합계
펜싱0101
체조1113
유도0202
사격1001
합계2417



성별 메달
성별합계
남자1102
여자1315
합계2417



금메달은 알린 몰도베아누가 사격 남자 10m 공기 소총에서, 산드라 이스바샤가 체조 여자 도마에서 획득하였다. 은메달은 알리나 드루미트루가 유도 여자 48kg에서, 코리나 캐프리오리우가 유도 여자 57kg에서, 라레쉬 드루미트레스쿠, 티베리우 돌니체아누, 플로린 잘로미르, 알렉산드루 시리체아누가 펜싱 남자 단체 사브르에서, 캐털리나 포노르가 체조 여자 마루에서 획득하였다. 동메달은 디아나 불리마르, 디아나 켈라루, 라리사 이오르다케, 산드라 이스바샤, 캐털리나 포노르가 체조 여자 단체 종합에서 획득하였다.

2. 3. 성별 메달

wikitable

메달선수종목세부 종목
1위 금산드라 이스바사체조여자 도마
1위 금알린 게오르게 몰도베아누사격남자 10m 공기 소총
2위 은카탈리나 포노르체조여자 마루
2위 은티베리우 도르니세아누, 라레슈 드미트레스쿠, 플로린 자르자르, 알렉산드루 시리테아누펜싱남자 사브르 단체
2위 은알리나 두미트루유도여자 48kg급
2위 은코리나 캡리오리우유도여자 57kg급
3위 동카탈리나 포노르, 라리사 안드레아 요르다케, 디아나 라우라 브리마르, 디아나 마리아 케랄, 산드라 이스바사체조여자 단체 종합


3. 종목별 참가 선수

루마니아 올림픽 및 스포츠 위원회(Comitetul Olimpic și Sportiv Român, COSR)는 14개 종목에 출전할 103명의 선수(남자 54명, 여자 49명)로 구성된 팀을 선발하여 2008년 하계 올림픽의 기록을 단 한 명의 선수로 넘어섰다. 도로 사이클링에는 단 한 명의 선수만 출전했다.[2]

루마니아 팀은 과거 올림픽 챔피언들을 포함했는데, 그 중 4명은 타이틀 방어 선수였다(마라톤 선수 콘스탄티나 디차, 유도 선수 알리나 두미트루, 체조 선수 산드라 이스바사, 조정 선수 게오르게타 안드루나케와 비오리카 수사누).[2] 8명의 루마니아 여성 선수들은 팀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선수들 중 하나였으며, 여섯 번째 올림픽에 출전한 원반 던지기 선수 니콜레타 그라수를 포함한다.[2] 게오르게타 안드루나케는 총 6개의 메달(금메달 5개)을 획득하며 올림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여성 조정 선수 중 한 명이 되었다.[2] 안드루나케의 동료인 비오리카 수사누는 총 5개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마라톤 선수 리디아 시몬과 함께 다섯 번째 올림픽에 출전했다.[2] 스키트 사격 선수 루치아 미할라케는 45세로 팀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선수였으며, 체조 선수 라리사 이오르다케는 16세로 가장 어린 선수였다.[2]

다른 주목할 만한 루마니아 선수로는 8년 만에 올림픽에 복귀한 체조 선수 커털리나 포노르, 네 번째 올림픽에 출전한 수영 선수이자 전 올림픽 챔피언 카멜리아 포테크, 그리고 1996년 이후 개막식에서 국가의 첫 남성 기수가 된 테니스 복식 전문 선수 호리아 테커우가 있다.[2]

종목남자여자전체
육상21517
복싱112
카누9211
사이클011
펜싱448
체조5510
유도336
조정41115
사격112
수영314
탁구123
테니스235
수구13013
역도314
레슬링202
전체5449103


4. 종목별 성적

루마니아 선수단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다양한 종목에 참가했다.
육상

마리우스 이오네스쿠의 남자 마라톤.


안드레아 오그라제아누가 여자 100m 예선에서 달리고 있다.


루마니아는 육상 종목에서 트랙 및 로드, 필드 경기에 참가했다.[3][4] 남자 마라톤에서는 마리우스 이오네스쿠가 2시간 16분 28초로 26위를 기록했고, 마리우스 코치오란은 남자 50km 경보에서 3시간 57분 52초로 39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안드레아 오그라제아누가 100m 예선에서 11.44초로 5위를 기록하며 준준결선에 진출했으나, 준준결선에서 탈락했고, 200m 예선에서는 23.46초로 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비앙카 라조르는 여자 400m에서 52.83초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미렐라 라브리치는 여자 800m 예선에서 2분 01.65초로 4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했으나, 준결선에서 2분 00.46초로 7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록사나 바르카는 여자 5000m에서 16분 01.04초로 18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안젤라 모로사누는 여자 400m 허들에서 56.64초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안쿠차 보보첼과 크리스티나 카산드라는 여자 3000m 장애물에서 각각 9분 31.06초(6위)와 9분 58.83초(1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마라톤에서는 콘스탄티나 디타가 2시간 41분 34초로 86위, 리디아 시몬이 2시간 32분 46초로 45위를 기록했다. 클라우디아 스테프는 여자 20km 경보에서 1시간 33분 56초로 38위를 기록했다.

여자 필드 종목에서는 비오리카 티거우가 멀리뛰기에서 6.21m로 2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크리스티나 부진은 세단뛰기에서 기록을 내지 못해 탈락했다. 에스테라 페트레는 높이뛰기에서 1.85m로 20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니콜레타 그라수는 원반던지기에서 61.86m로 1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비앙카 페리에는 해머던지기에서 68.34m로 22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복싱남자 미들급에 출전한 보그단 유라토니는 32강에서 아보스 아토예프(우즈베키스탄)에게 10-12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여자 라이트급에 출전한 미하엘라 러캐투스는 16강에서 동청 (복싱 선수)(중국)에게 5-10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카누남자 C-1 1000m에 출전한 요시프 치릴러는 예선에서 4분 05.863초로 1위를 기록하며 결선 B에 진출했으나, 결선 B에서 3분 59.730초로 11위를 기록했다. 남자 C-2 1000m에 출전한 알렉산드루 두미트레스쿠와 빅토르 미할라키는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하며 결선 A에 진출, 결선 A에서 3분 43.005초로 7위를 기록했다. 남자 K-2 200m에 출전한 보그단 마다와 이오누츠 미트레아는 예선 5위로 결선 B에 진출, 결선 B에서 46.495초로 13위를 기록했다. 남자 K-4 1000m에 출전한 페트루스 가브릴라, 토니 이오네티쿠, 트라이안 네아구, 스테판 바실레는 예선 4위로 결선 A에 진출하여 2분 58.223초로 8위를 기록했다. 여자 K-2 500m에 출전한 이리나 라우리크와 율리아나 팔레우는 예선 3위로 결선 B에 진출, 결선 B에서 1분 52.468초로 16위를 기록했다.
사이클남자 도로 경기에 출전한 안드레이 네치타는 완주에 실패했다.
펜싱남자 플뢰레 개인전에 출전한 라두 다러반은 32강에서 최니콜라스(홍콩)를 15-12로 이겼으나, 16강에서 발레리오 아스프로몬테(이탈리아)에게 11-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남자 사브르 개인전에 출전한 티베리우 돌니체아누는 32강에서 대릴 호머(미국)에게 11-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라레시 두미트레스쿠는 32강에서 드미트로 보이코(우크라이나)를 15-12, 16강에서 알략산드르 부이케비치(벨라루스)를 15-6, 8강에서 대릴 호머(미국)를 15-13으로 이겼으나, 준결승에서 디에고 오키우치(이탈리아)에게 11-15로 패배, 동메달 결정전에서 니콜라이 코발레프 (펜싱 선수)(러시아)에게 10-15로 패배하며 4위를 기록했다. 플로린 잘로미르는 32강에서 모즈타바 아베디니(이란)를 15-7로 이겼으나, 16강에서 구본길(대한민국)에게 12-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티베리우 돌니체아누, 라레시 두미트레스쿠, 플로린 잘로미르, 알렉산드루 시리체아누가 출전한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대한민국에 26-45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에페 개인전에 출전한 아나 마리아 브런저는 32강에서 쉬주팅(대만)을 15-8로 이겼으나, 16강에서 야나 셰먀키나(우크라이나)에게 13-14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시모나 게르만은 32강에서 코리나 로렌스(영국)를 15-9, 16강에서 로라 플레셀-콜로비치(프랑스)를 15-13으로 이겼으나, 8강에서 야나 셰먀키나(우크라이나)에게 14-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안카 머로이우는 32강에서 올레나 크리비츠카(우크라이나)를 15-10, 16강에서 안나 시브코바(러시아)를 15-11로 이겼으나, 8강에서 신아람(대한민국)에게 14-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아나 마리아 브런저, 시모나 게르만, 안카 머로이우, 로레다나 디누가 출전한 여자 에페 단체전에서는 8강에서 대한민국에 38-45로 패배, 5-8위 결정전에서 이탈리아를 45-38로 이겼으나, 5-6위 결정전에서 독일에 36-45로 패배하며 6위를 기록했다. 여자 사브르 개인전에 출전한 비앙카 파스쿠는 32강에서 주민 (펜싱 선수)(중국)에게 10-15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체조루마니아는 여자 기계 체조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산드라 이스바사는 도마에서 금메달, 커털리나 포노르는 마루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루마니아가 여자 기계 체조 단체전에서 1976년부터 10회 연속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기록이며, 2016년 올림픽에서 이 기록은 종료되었다.

남자 단체전에서는 예선 10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플라비우스 코치는 개인 종합 예선 25위를 기록했으나 결선에 출전하지 않았고, 마루 결선에서 15.100점으로 7위, 도마 결선에서 15.633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체조 선수 산드라 이스바사가 여자 도마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단체전에서는 디아나 불리마르, 디아나 첼라루, 라리사 요르다케, 산드라 이스바사, 커털리나 포노르가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 개인 종합에서는 라리사 요르다케가 9위, 산드라 이스바사가 5위를 기록했다. 산드라 이스바사는 도마에서 15.191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마루에서는 13.333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커털리나 포노르는 마루에서 15.200점으로 은메달, 평균대에서 15.066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라리사 요르다케는 평균대에서 14.200점으로 6위를 기록했다.
유도남자 66kg급에 출전한 단 파시에는 32강에서 다비드 라로스(프랑스)에게 0000-0100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남자 100kg급에 출전한 다니엘 브라타는 32강에서 레반 조르졸리아니(조지아)에게 0013-0102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남자 100kg 초과급에 출전한 블러두츠 시미오네스쿠는 32강에서 유리 크라코베츠키(키르기스스탄)를 1001-0001로 이겼으나, 16강에서 안드레아스 퇼처(독일)에게 1000-0000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여자 48kg급에 출전한 알리나 두미트루는 결승에서 사라 메네제스(브라질)에게 0000-0011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52kg급에 출전한 안드레아 치투는 32강에서 소라야 하다드(알제리)를 0100-0000으로 이겼으나, 16강에서 일세 헤일렌(벨기에)에게 0000-0010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여자 57kg급에 출전한 코리나 커프리오리우는 결승에서 마쓰모토 가오리(일본)에게 0000-0100으로 패배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조정36년 만에 처음으로 루마니아는 조정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남자 무타포어에 출전한 마리우스 바실레 코즈미우크, 플로린 쿠르에아, 게오르게 알렉산드루 팔라마리우, 크리스티 일리에 피르기에는 준결승에서 12위를 기록하며 결선 B에 진출, 결선 B에서 6분 16.20초로 12위를 기록했다. 여자 무타 페어에 출전한 게오르제타 안드루나케와 비오리카 수사누는 결선에서 7분 37.67초로 5위를 기록했다. 여자 에이트에 출전한 니콜레타 알부, 에니코 바라바스, 록사나 코지아누, 아델리나 코조카리우, 이리나 도르네아누, 테오도라 기도이우, 크리스티나 그리고라스, 카멜리아 루파스쿠, 이오아나 로타루는 결선에서 6분 17.64초로 4위를 기록했다.
사격알린 몰도베아누는 남자 10m 공기 소총에서 702.1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스키트에 출전한 루치아 미할라체는 예선에서 65점으로 12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수영루마니아 수영 선수들은 여러 종목에 출전했다.[5][6] 남자 100m 평영에 출전한 드라고스 아가체는 예선에서 1분 02.93초로 37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남자 200m 접영에 출전한 알렉산드루 코치는 예선에서 1분 59.67초로 29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노르베르트 트란다피르는 남자 50m 자유형 예선에서 22.22초로 15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준결승에서 22.30초로 1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남자 100m 자유형에서는 예선에서 49.02초로 17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여자 200m 자유형에 출전한 카멜리아 포테크는 예선에서 2분 01.15초로 2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400m 자유형에서는 예선에서 4분 11.43초로 20위를 기록하며 탈락, 800m 자유형에서는 예선에서 8분 38.44초로 2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탁구아드리안 크리샨은 남자 단식 8강에서 좡즈위안(대만)에게 0-4로 패배하여 탈락했다.[7] 다니엘라 도데안은 여자 단식 3라운드에서 딩닝(중국)에게 0-4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엘리자베타 사마라는 여자 단식 4라운드에서 리 자오 (탁구)(네덜란드)에게 2-4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테니스아드리안 운구르는 남자 단식 1라운드에서 질 뮐러(룩셈부르크)에게 3-6, 3-6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호리아 테커우와 아드리안 운구르는 남자 복식 1라운드에서 다니엘 네스터와 바셰크 포스피실(캐나다)에게 3-6, 6-7(9-11)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이리나-카멜리아 베구는 여자 단식 1라운드에서 빅토리아 아자렌카(벨라루스)에게 1-6, 6-3, 1-6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소라나 크르스테아는 여자 단식 1라운드에서 플라비아 페네타(이탈리아)에게 2-6, 6-4, 2-6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시모나 할레프는 여자 단식 1라운드에서 야로슬라바 시베도바(카자흐스탄)에게 4-6, 2-6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소라나 크르스테아와 시모나 할레프는 여자 복식 1라운드에서 세레나 윌리엄스와 비너스 윌리엄스(미국)에게 3-6, 2-6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수구루마니아 남자 수구 대표팀은 조별 예선에서 2승 3패를 기록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역도플로린 크로이토루는 남자 56kg급에서 합계 268kg으로 9위를 기록했다. 러즈반 마틴은 남자 69kg급에서 실격 처리되었다. 가브리엘 싱크러이안은 남자 85kg급에서 기권했다. 록사나 코코스는 여자 69kg급에서 실격 처리되었다.
레슬링라레쉬 친토안은 남자 자유형 120kg급 16강에서 다울레트 샤반바이(카자흐스탄)에게 1-3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알린 알렉수크-치우라리우는 남자 그레코로만형 96kg급 예선에서 엘리스 구리(불가리아)에게 0-3으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4. 0. 1. 남자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상대
결과순위보그단 유라토니미들급
10–12진출 실패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요시프 치릴러C-1 1000m4:05.8631 Q4:07.7946 FB3:59.73011
알렉산드루 두미트레스쿠
빅토르 미할라키
C-2 1000m3:43.7874 Q3:36.5513 FA3:43.0057
보그단 마다
이오누츠 미트레아
K-2 200m33.9785 Q34.2535 FB46.49513
페트루스 가브릴라
토니 이오네티쿠
트라이안 네아구
스테판 바실레
K-4 1000m3:12.3714 Q2:55.0275 FA2:58.2238



예선 통과 범례: '''FA''' = 결선 진출 (메달); '''FB''' = 결선 B 진출 (비메달)

선수종목시간순위
안드레이 네치타2012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 도로완주 실패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라두 다러반개인 플뢰레
15–12

11–15
진출 실패
티베리우 돌니체아누개인 사브르
11–15
진출 실패
라레시 두미트레스쿠
15–12

15–6

15–13

11–15

10–15
4
플로린 잘로미르
15–7

12–15
진출 실패
티베리우 돌니체아누
라레시 두미트레스쿠
플로린 잘로미르
알렉산드루 시리체아누
단체 사브르colspan=3
45–30

45–43

26–45



선수종목예선결선
기구합계순위기구합계순위
크리스티안 버터거단체14.66612.70014.83315.766colspan=4 진출 실패
마리우스 베르베카르12.73314.46615.43315.23313.700colspan=2
오비디우 부이도소14.36613.766colspan=2 14.73314.066colspan=2
블라드 코투나15.01614.40015.50014.86613.491colspan=2
플라비우스 코치15.666 Q13.40014.60016.066 Q13.50012.63385.86525 Q
합계45.34839.89943.89947.33244.83241.257262.56710



;개인 결선

선수종목기구합계순위
플라비우스 코치개인 종합출전 포기
마루15.100colspan=5 15.1007
도마colspan=3 15.633colspan=2 15.6337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패자부활전결승 /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단 파시에–66kg
0000–0100
진출 실패
다니엘 브라타–100kg
0013–0102
진출 실패
블러두츠 시미오네스쿠+100kg
1001–0001

1000–0000
진출 실패



선수종목예선패자부활전준결승결승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마리우스 바실레 코즈미우크
플로린 쿠르에아
게오르게 알렉산드루 팔라마리우
크리스티 일리에 피르기에
포어5:52.872 SA/Bcolspan=2 6:12.7412 FB6:16.2012



선수종목예선결선
점수순위점수순위
알린 몰도베아누10m 공기 소총5992702.1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드라고스 아가체100m 평영1:02.93=37진출 실패
알렉산드루 코치200m 접영1:59.6729진출 실패
노르베르트 트란다피르50m 자유형22.22 NR15 Q22.3016진출 실패
100m 자유형49.0217진출 실패



선수종목예선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8강준결승결승 /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아드리안 크리샨남자 단식colspan=3
4–2

4–1

0–4
진출 실패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아드리안 운구르남자 단식
3–6, 3–6
진출 실패
호리아 테커우
아드리안 운구르
남자 복식
3–6, 6–7(9–11)
진출 실패



;팀 로스터

;조별 예선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합계순위
결과순위결과순위
플로린 크로이토루남자 −56kg121814792689
러즈반 마틴남자 −69kg15221804322
가브리엘 싱크러이안남자 −85kg167



{{소규모div|1=

'''약어'''


}}

;남자 자유형

선수종목예선16강8강준결승패자부활전 1패자부활전 2결승 /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라레쉬 친토안−120 kg
1–3
진출 실패10



;남자 그레코로만형

선수종목예선16강8강준결승패자부활전 1패자부활전 2결승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알린 알렉수크-치우라리우−96 kg
0–3
진출 실패16


4. 0. 2. 여자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루마니아 여자 체조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산드라 이스바사는 도마에서 금메달을, 커털리나 포노르는 마루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7] 이는 루마니아가 1976년부터 여자 기계 체조 단체전에서 10회 연속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기록이며, 2016년 다음 올림픽에서 이 기록은 종료되었다.

;단체

선수종목예선결선
기구합계순위기구합계순위
디아나 불리마르단체colspan=2 14.00014.866 Qcolspan=2 14.06614.53314.700colspan=2
디아나 첼라루14.33314.66613.733colspan=3 13.633colspan=4
라리사 요르다케13.80015.10014.10014.80057.8009 Q15.100colspan=2 15.200colspan=2
산드라 이스바사15.066 Q15.500 Q12.36614.60057.53211 Q14.80013.76615.300colspan=3
캐털리나 포노르14.600 Q15.13315.033 Qcolspan=2 15.10015.41614.800colspan=2
합계43.99945.73341.83344.699176.2644 Q45.00041.46445.24944.700176.414



;개인 결선

선수종목기구합계순위
라리사 요르다케개인 종합13.83314.93314.23314.96657.9659
평균대colspan=3 14.20014.2006
산드라 이스바사개인 종합15.20015.33313.90014.40058.8335
마루13.333colspan=3 13.3338
도마15.191colspan=2 15.191
캐털리나 포노르마루15.200colspan=3 15.200
평균대colspan=3 15.06615.0664



선수종목32강16강8강준결승패자부활전결승 /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알리나 두미트루–48kg
1000–0000

0011–0001

0102–0011

0000–0011
안드레아 치투–52kg
0100–0000

0000–0010
진출 실패
코리나 커프리오리우–57kg
0102–0000

0100–0000

0000–0000

0100–0000

0000–0100



선수종목예선패자부활전결승
시간순위시간순위시간순위
게오르제타 안드루나케
비오리카 수사누
페어7:05.393 R7:08.421 FA7:37.675
니콜레타 알부
에니코 바라바스
록사나 코지아누
아델리나 코조카리우
이리나 도르네아누
테오도라 기도이우
크리스티나 그리고라스
카멜리아 루파스쿠
이오아나 로타루
에이트6:16.612 R6:16:162 FA6:17.644



예선 레전드: '''FA'''=결선 A (메달); '''FB'''=결선 B (비메달); '''FC'''=결선 C (비메달); '''FD'''=결선 D (비메달); '''FE'''=결선 E (비메달); '''FF'''=결선 F (비메달); '''SA/B'''=준결승 A/B; '''SC/D'''=준결승 C/D; '''SE/F'''=준결승 E/F; '''QF'''=8강; '''R'''=패자부활전

선수종목예선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8강준결승결승 /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상대
결과
순위
다니엘라 도데안여자 단식colspan=2
4–3

0–4
진출 실패
엘리자베타 사마라colspan=2
4–1

4–2

2–4
진출 실패



선수종목64강32강16강8강준결승결승 /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상대
점수
순위
이리나-카멜리아 베구여자 단식
1–6, 6–3, 1–6
진출 실패
소라나 크르스테아
2–6, 6–4, 2–6
진출 실패
시모나 할레프
4–6, 2–6
진출 실패
소라나 크르스테아
시모나 할레프
여자 복식
3–6, 2–6
진출 실패



선수세부 종목인상용상합계순위
결과순위결과순위
록사나 코코스여자 −69kg11341432256


4. 0. 3. 남자

소스 (`source`)와 요약 (`summary`)에 내용이 없어, 주어진 제목과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빈 섹션을 출력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4. 0. 4. 남자

소스 (`source`)가 비어있으므로, 요약 (`summary`)과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빈 섹션을 생성합니다.

4. 0. 5. 여자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4. 0. 6. 남자

소스와 요약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0. 7. 여자

요약(summary)과 원본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어, 주어진 제목과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IOC sanctions three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s at London 2012 https://www.olympi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0-11-25
[2] 뉴스 "''Horia Tecău, port-drapelul României la ceremonia de deschidere a JO 2012''" http://www.cotidianu[...] 2012-07-03
[3] 웹사이트 iaaf.org – Top List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4] 간행물 IAAF Games of the XXX Olympiad – London 2012 ENTRY STANDARDS http://www.iaaf.org/[...] IAAF 2011-06-04
[5] 웹사이트 Swimming World Rankings http://www.fina.org/[...] FINA 2011-06-08
[6] 간행물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 – Swimming http://www.fina.org/[...] FINA 2011-06-08
[7] 웹사이트 Direct Qualifiers for 2012 London Olympic Games – Provisional list http://www.ittf.com/[...]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2011-05-17
[8] 웹사이트 IOC sanctions three athletes for failing anti-doping tests at London 2012 - Olympic News https://olympics.com[...] 2021-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